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Digital technologies are essentially related to metaphors,
디지털 기술은 근본적으로 은유와 관련되어 있다,
but digital metaphors are different from linguistic ①ones in important ways.
하지만 디지털 은유는 언어적 은유와 다르다 중요한 면에서
Linguistic metaphors are passive,
언어적 은유는 수동적이다.
in the sense that the audience needs to choose to actively enter the world proposed by metaphor.
독자가 적극적으로 들어가도록 선택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은유에 의해 제시된 세계에
In the Shakespearean metaphor “time is a beggar,”
“시간은 구걸하는 자다”라는 셰익스피어의 은유에서
the audience is unlikely to understand the metaphor without cognitive effort and without further ②engaging Shakespeare’s prose.
독자는 은유를 이해 할 것 같지 않다 인지적인 노력 없이는 그리고 셰익스피어의 산문을 더 끌어들이지 않고는
Technological metaphors, on the other hand, are active (and often imposing)
반면에 기술적 은유는 능동적이다 (그리고 종종 강요적이다)
in the sense that they are realized in digital artifacts that are actively doing things,
그들이 실현된다는 점에서 능동적으로 일을 하는 디지털 인공물에서
forcefully ③changing a user’s meaning horizon.
사용자의 의미의 시야를 강력하게 바꾸면서
Technological creators cannot generally afford to require / their potential audience to wonder how the metaphor works;
기술적인 창작자는 일 반적으로 요구할 여유가 없다 / 그들의 잠재적인 독자에게 어떻게 은유가 작용하는지 궁금해하도록
normally the selling point is ④what the usefulness of the technology is obvious at first glance.
일반적으로 장점은 기술의 유용성이 첫눈에 분명하다는 것이다.
Shakespeare, on the other hand, is beloved in part because the meaning of his works is not immediately obvious and ⑤requires some thought on the part of the audience.
반면에 셰익스피어는 사랑받는다. 부분적으로는 그의 작품의 의미가 즉각적으로 분명하지 않고
독자의 측에서 어느 정도의 생각을 요구하기 때문에
정답 ④번
what 뒤의 문장이 완전하므로 that이 적절하다.
selling point의 보어로 that절이 왔다.
* 어휘 *
prose : 산문 horizon : 수평선, 시야 forcefully : 강력하게
selling point 장점
'영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10월 고1 영어모의고사 31번 문제 해설 (2) | 2024.10.25 |
---|---|
2024년 10월 고1 영어모의고사 30번 문제 해설 (0) | 2024.10.25 |
2024년 10월 고1 영어모의고사 26번 문제 해설 (2) | 2024.10.24 |
2024년 10월 고1 영어모의고사 24번 문제 해설 (4) | 2024.10.23 |
2024년 10월 고1 영어모의고사 23번 문제 해설 (2) | 2024.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