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쉽고 재미있는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쉽고 재미있는 고사성어4

토사구팽(兎死狗烹) 토사구팽(兎死狗烹)이라는 고사성어는 중국 고전에서 유래한 말로, 이 표현은 '토끼가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는 삶아 먹힌다'는 뜻으로 쓸모가 있을 때는 긴요하게 쓰이지만쓸모가 없어지면 헌신짝처럼 버려지는배은망덕한 행동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말입니다. "토사구팽"의 유래는 중국의 고전 《사기(史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구체적인 이야기는 다음과 같습니다:월왕 구천과 범려: 춘추시대 월나라의 월왕 구천은 오나라와의 전쟁에서 패배한 후,장군 범려(范蠡)의 도움으로 다시 군대를 정비하여 결국 오나라를 물리치고 승리했습니다.구천은 전쟁이 끝난 후 자신의 왕권을 강화하고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자신의 과거 동료들을 멀리하거나 제거하려 했습니다.범려의 충고: 범려는 구천의 성격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오나라가 멸망한 후.. 2024. 5. 29.
농단 (壟斷) 의 유래 및 의미 이 성어는 '독점하다' 또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어떤 일에 주도권을 잡다 '는 의미로 사용됩니다.농단(壟斷)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옛날의 시장은 단순히 물건과 물건을 교환하는 곳이었습니다.그런데 한 교활한 사내가 나타나 시장이 잘 보인 높은 언덕(농단壟斷)에 올라가 좌우를 살피면서 시장의 이익을 독점하였습니다.그러자 사람들은 모두 그 사내의 비열한 수법을 천하게 여겼습니다.이 소식을 들은 관리들은 그에게 세금을 거두기로 했습니다.이때부터 장사꾼에게 세금을 거두는 제도가 생겨났다. " ◆ 농단의 유래와 기원사기(史記):사마천(司馬遷)이 쓴 《사기》의 평원군열전(平原君列傳)에 따르면,중국 전국시대의 평원군 조승(趙勝)이 설사에게 '인재를 농단하다'(控制壟斷)를 말한 것이 기원이라고 합니다.여기서.. 2024. 5. 28.
간담상조 (肝膽相照) 의 뜻 과 유래 간담상조 (肝膽相照) -  서로 간과 쓸개를 꺼내 보인다는 뜻으로서로 간에 진심을 터놓고 격의 없이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친한 사이를 말함. 우선 두개의 이야기가 있다. ◆ 주나라의 신하 우중과 범려:이 이야기에서 범려와 우중은 주나라의 충성스러운 신하들로,서로를 깊이 신뢰하며 자신의 속마음을 드러냈습니다.이들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간담상조'라는 말이 사용되었습니다.간과 쓸개가 서로 통하듯이 진심으로 서로를 이해하고 도와주는 관계를 나타냅니다. ◆ 중국 고사에 나오는 이야기:진나라 때의 인물인 복청(卜靑)과 그의 친구 조세(趙世)와의 관계에서 유래한 말로도 알려져 있습니다.복청과 조세는 간과 쓸개를 꺼내어 서로에게 보여주며,진심으로 속마음을 나눴다고 전해집니다.이 이야기에서 유래된 '간담상조'는 진정.. 2024. 5. 24.
관포지교 管鮑之交 관포지교 管鮑之交 - 관중과 포숙아와 같은 사귐이라는 뜻으로 세상사를 떠나 친구를 위하는 두터운 우정을 말합니다.관중(管仲)과 포숙아(鮑叔牙)는 중국 춘추시대에 청소년 시절부터절친한 친구 사이였다.그의 일화 중관중과 포숙아는 젊은 시절부터 함께 장사를 하며 지냈는데이 과정에서 함께  일했으면서도 관중은 포숙아 보다 이익금을 늘 더 많이 가져갔습니다.그러나 포숙아는 관중에게 욕짐쟁이라고 말하지 않았고,항상 가난하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에이해해 주었습니다.또 다른 일화에서관중은 전쟁터에서도 여러 번 도망쳤지만포숙아는 관중에게 겁쟁이라 말하지 않고관중에게는 모셔야 할 노모가 계시다는 걸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를 이해해 주었습니다.그리고 후에관중과 포숙아는 제나라에서 각각 다른 정치적 인물들을 지원하게 되었습니.. 2024. 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