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농단 (壟斷) 의 유래 및 의미
본문 바로가기
쉽고 재미있는 고사성어

농단 (壟斷) 의 유래 및 의미

by 타바언 2024. 5. 28.

이 성어는 '독점하다' 또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어떤 일에 주도권을 잡다 '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농단(壟斷)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 옛날의 시장은 단순히 물건과 물건을 교환하는 곳이었습니다.그런데 한 교활한 사내가 나타나 시장이 잘 보인 높은 언덕(농단壟斷)에 올라가 좌우를 살피면서 시장의 이익을 독점하였습니다.그러자 사람들은 모두 그 사내의 비열한 수법을 천하게 여겼습니다.이 소식을 들은 관리들은 그에게 세금을 거두기로 했습니다.이때부터 장사꾼에게 세금을 거두는 제도가 생겨났다. "

 

◆ 농단의 유래와 기원

  1. 사기(史記):

사마천(司馬遷)이 쓴 《사기》의 평원군열전(平原君列傳)에 따르면,

중국 전국시대의 평원군 조승(趙勝)이 설사에게 '인재를 농단하다'(控制壟斷)를 말한 것이 기원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농단'은 높은 언덕을 의미하며,

높은 언덕 위에 서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것처럼,

어떤 사안을 독점적으로 주도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2. 후한서(後漢書):

범엽(范曄)이 쓴 《후한서》의 왕망전(王莽傳)에 따르면,

왕망(王莽)이 권력을 잡기 위해 여러 가지 술책을 써서 권력을 농단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여기서도 '농단'은 권력을 독점하고 주도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3. 전국시대 제나라 선왕 때의 일입니다.맹자는 그곳에서 왕도정치의 실현이라는 뜻을 이루고자 수년간 머물렀으나 그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제 저는 제 고향으로 돌아가려고 합니다."맹자의 말에 선왕은 깜짝 놀라며 말했다." 아니, 무슨 불편한 일이라도 있는 것입니까? 부디 떠나지 마시고  제 곁에 오랫동안 머물러 주십시오, 그리하면 높은 봉록을 공에게 주겠소이다."" 제가 주장한 왕도정치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데도 봉록 때문에 '농단(壟斷)'할 생각은 없습니다."이 말을 들은 선왕은 고개를 끄덕이며맹자를 그의 고향으로 돌려보냈다.

 

< 의미 >

이러한 유래에서 "농단"은 본래 높은 언덕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며 독점적으로 지배하는 모습을 의미했습니다.

현재는 특정인이 어떤 이익이나 권한을 독점적으로 차지하고 남용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 예시 >

현대 한국어에서 "농단"은 주로 부정적인 의미로 쓰입니다.

예를 들어, "권력을 농단하다", "이익을 농단하다" 등으로 사용되어,

권력이나 이익을 불공정하게 독점하거나 남용하는 상황을 묘사합니다.

이렇게 "농단"은 고사성어로서 역사적 배경과 문학적 유래를 가지고 있으며,

현대에도 그 의미가 확장되어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쉽고 재미있는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사구팽(兎死狗烹)  (0) 2024.05.29
간담상조 (肝膽相照) 의 뜻 과 유래  (0) 2024.05.24
관포지교 管鮑之交  (0) 2024.05.20